믿음의 법칙 1388

최고관리자 0 1,839

a3176ac3b451d5147cc643896fcd0d22_1448507
                                                                                                                                 ​​ 제목:믿음의 법칙 
                                                                                       성경:창13:14-15절

 

 성경의 역사는 하나님께서 인류에게 복 주심의 역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류의 조상 아담과 하와에게 에덴동산에서 영생할 수 있는 복을 주셨습니다. 그런데 그들은 그 하나님의 복을 누리지 못했습니다. 반면에 믿음의 조상 아브라함은 하나님이 주시는 복을 다 받아 누렸습니다. 하나님께서 복을 주시기로 약속을 하셨을지라도 복 받을 일을 내가 해야 합니다. 이 일이 중요합니다. 오늘 본문의 말씀 제목은 믿음의 법칙입니다.

                                   

                                                                                                   1.바라보는 것입니다(14절)

 우리는 깨어있는 순간에는 항상 그 무엇인가를 바라보며 살아갑니다. 그런데 중요한 사실이 있습니다. 우리가 무엇을 바라보느냐에 따라서 우리의 사고와 행동과 그리고 더 나아가 삶의 목적은 현저한 차이를 보이게 된다는 사실입니다. 성경은 하나님께서 지으신 모든 피조물 중에 우리 인간에게만 4개의 눈을 주셨습니다. 영안(靈眼)과 육안(肉眼)과 심안(心眼)과 지안(知眼)을 주셨습니다. 오늘 본문말씀의 장면을 보면 눈을 들어 앞을 바라보는 두 사람이 있습니다. 아브라함과 조카 롯입니다. 이 두 사람은 같은 시간, 같은 장소에 서있었습니다. 그런데 바라보는 관점은 서로 달랐습니다. 같은 곳을 바라보고 있는데 그 두사람의 생각이 다르고 목적이 다르고 방향이 달랐습니다. 그 이유가 무엇인가? 눈이 달랐기 때문입니다. 롯은 육적인 눈으로 바라보았고, 아브라함은 영적인 눈으로 바라보았기 때문입니다. 바라보는 것은 소유하는 것이라는 것입니다. 어떻게 어떤 눈으로 바라봐야 하는가? 반드시 믿음의 눈으로 바라보아야 합니다. 이일이 중요합니다.

                                                                                           2.하나님 중심에 서는 것입니다.

 오늘날 정상적인 교회에서 신앙생활을 잘 하던 사람들이 왜 이단에 쉽게 빠져드는가? 그것도 장로들, 집사들, 심지어는 목회자들도 많습니다. 신천지이단에 빠져드는 사람들의 실례입니다. 그들이 신천지 같은 이단에 쉽게 빠지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것입니다만, 그 가운데 가장 중요하고 가강 심각한 것이 말씀이 없기 때문입니다. ➀말씀의 부재입니다. ➁확고한 신앙의 결여 때문입니다. ➂교회에서 바르게 가르치질 못했기 때문입니다. ➃자기 자신의 정욕 때문입니다. 이단의 교리와 사상들은 은밀하게 미혹하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것은 듣는 자의육신의 애정과 욕망을 만족시켜주는 교리와 사상이 교묘하게 숨어있습니다.

 오늘 우리 기존 교회의 성도들이 힘써야 할 시급한 문제는, 하나님 말씀을 깊히 있게 알아야 합니다. 또 말씀을 붙들어야 합니다. 항상 언제 어느 때, 어디에 있든지 간에 하나님 말씀중심의 삶을 살아가기를 힘써야 합니다. 하나님 말씀보다 내 육신의 정욕이 앞선 생활을 하다 보면, 타락+이단에 빠져들 소지가 많습니다. 롯은 평소에 하나님 말씀을 의지하지 않고 살아가다가 너무 쉽게 세상에 빠져 들어가는 사람과도 같습니다. 그런데 아브라함은 어떠했습니까? 아브라함은 항상 언제 어디서나 하나님 말씀중심의 삶을 살았기 때문에, 선택의 순간! 눈앞의 이익 앞에서도 믿음이 흔들리거나 변함이 없었다라는 사실입니다.

 언제 어디서나 믿음의 눈으로 바라보고 하나님 중심에 서는 것! 이것이 중요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