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人生의 座右銘
1. 人生에는 세 가지의 重要한 선택이 있다.
① 직업의 선택이요 ② 배우자의 선택이요 ③ 인생관의 선택이다.
이 세 가지의 선택에 따라서 내 인생의 성공과 실패, 행복과 불행이 좌우된다.
옛말에 禍福自招라는 말이 있다. 인생의 행복과 불행은 결코 외부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 만들어간다라는 말이다.
게으름, 나태 거짓, 교만함, 사치와 허영, 낭비, 타락의 삶을 살아가면 -불행의 함정 속에 빠져 들어가게 될 것이고,
정직, 근면, 검소, 신의, 겸손, 온 유, 인내, 오래 참음의 삶을 살아가면 -행복과 성공한 인생을 살아가게 될 것이다.
우리 인생은 일회성(一回性) 인생(人生)이다.
우리는 이 일회성 인생을 살아갈 때 내 자신이 어떤 인생관, 어떠한 가치관, 어떠한 생활신조와 행동원칙을 가지고 살아가야 하는가?
이것은 대단히 중요한 문제이다.
우리 인생은 결코 향락(享樂)의 놀이터가 아니다.
또한 돈을 많이 소유(所有)하기 위한 싸움터도 아니다.
人生은 창조(創造)의 일터요, 자기완성(自己完成)의 수도장(修道場)이다.
사람이 사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바르게, 진실되게, 의롭게 사는 것이 중요하다.
2. 우리는 人生을 바로 살기 위해서 올바른 座右銘을 가져야 한다.
座右銘이란 책상좌(座)의 오른쪽(右)에 놓아둔 쇠붙이에 새긴 글(銘)이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좌우명이 언제부터 생겼는가?
지금부터 약 1900년 전, 후한(後漢)의 유명한 학자인 최자옥(崔子玉)이라는 사람으로부터 시작이 되었다. 그는 삶의 길잡이가 되고 행동의 지침이 되고, 생활의 거울이 될 수 있는 人生의 名言을 쇠붙이에 새겨 책상위에 놓고 주야(晝夜)로 그것을 바라보면서, 자기 人生의 계명(誡命)으로 삼고, 자기 인격수양(人格修養)에 힘썼다, 그 후 좌우명이 동양사회에 자리잡게 된 것이다. 그렇다면 내 인생의 좌우명은 무엇으로 정해야 좋을까? 각 자의 인생의 목적, 삶, 방향, 생각에 달려있지 않겠는가?
1)이 세상에서 가장 현명한 사람이 어떤 사람인가?
지식이 많은 학자인가? 아니다. 이 세상에서 가장 지혜롭고 현명한 사람은 모든 사람한테서 배우는 사람이다.
2)이 세상에서 가장 강한 사람은 누구인가? -자기와의 싸움에서 이기는 사람이
3)그렇다면 이 세상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은 누구인가?
빌게이츠인가? 재벌들인가? 아니다. 이 세상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은 내가 가진 것으로 만족하는 사람이다.
이 세상에서 가장 지혜로운 사람은?
(Who is the wisest man in the world) → 모든 사람들한테서 배우는 사람이다.
생즉학(生則學) 즉, 산다는 것은 배우는 것이다(Living is learning) 또 산다는 것은 주어진 환경에 적응하는 것이다.(Adaptation)
우리는 지금 치열한 경쟁사회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이 치열한 경쟁사회에 적응을 하고 능동적으로 대처를 하려면 부지런히 배워야 한다.
그래서 현대를 평생교육(平生敎育)-(lifelong education)의 時代라고 하지 않는가?
우리 현대인이 저지르기 쉬운 정신적 범죄가 세 가지가 있다.
①모르면서 배우지 않는 것이요(不學)
②알면서도 가르치지 않는 것이며(不敎)
③할 수 있는데도 하지 않는 것이다(不爲)
詩人괴테는 이렇게 말했다. 가장 유능한 사람은 부단히 배우는 사람이다.
능력은 학습의 산물이다. 그러므로 교학위선(敎學爲先) - 배우고 가르치는 일을 제일 먼저 하라. 중국의 고전 예기(禮記)에 나오는 말이다.
평생교육의 대표적인 인물을 두 사람만 든다면 공자와 링컨을 들 수 있다.
공자는 삼인행필유아사(三人行必有我師)-論語
이 말은 세 사람만 같이 가면 그 중에는 반드시 내가 배울만한 스승이 있다. 라는 말이다.
그렇다 공자는 누구한테나 배웠다. 옛말에 손자한테도 배울 것이 있다하지 않았던가? 공자의 위대한 점은 겸손한 마음으로 누구한테나 배웠기 때문이다.
링컨은 켄터키주의 가난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링컨의 일생 정규교육은 초등학교 5학년이 전부이다. 그러나 링컨은 독학자습(獨學自習)으로
미국 최대의 위인이 되었다. 링컨은 평생교육으로 대성했다
링컨은 일생에 두 가지 좌우명을 만들었다.
❶만나는 사람마다 교육의 기회로 삼아라. ❷나는 공부하고 준비하리라.
내게 배우고자하는 마음만 있으면 만인이 다 나의 스승이 될 수가 있다.
이 세상에서 가장 강한 사람이 누구인가?
(Who is the stongest man in the world?)-자기와 싸워 이기는 사람이다. 생즉쟁(生則爭) -(Living is fighting)-산다는 것은 싸우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