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틴 루터는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사람이 예수님을 믿고 회심하려면 “세 가지가 필요하다” 그것은 가슴과 머리와 지갑의 회심이다.라고 말했다. 아마 오늘날 이 셋중에 가장 힘든 것은 지갑의 회심일 것이다.
돈에 관한 영성을 함양하는데 있어 중요한 것은 먼저 바울이 말한 ‘정세들과 권세들의 맥락에서 돈을 살펴 봐야 할 것이다(엡6; 12, 골1: 16).
예수님은 부(富)에 관해서 말씀하실 때 아람어 ‘맘몬’(mammon)을 사용하셨다. 이는 재물에 인격적이고 영적인 특성을 부여 하신것이다.
“너희가 하나님과 재물을 겸하여 섬기지 못한다” 말씀은 맘몬을 하나님의 라이벌로 의인화 하신 것이다. 이 구절에서 예수님은 돈이 어떤 비 인격적인 거래 수단이 아님을 분명히 못박으셨다. 그렇다 재물은 우리를 지배하기 원하는 세력중의 하나이다.
재물은 우리에게 명령을 한다. 그렇지 않은가? 재물은 우리에게 충성을 요구하며 인간적 친절을 이용해 우리의 존재 자체를 착취하려 한다.
가장 무서운 것은 돈이 전능한 힘을 원한다는 사실이다. ‘돈이면 안되는
일이 없다는 사고방식이 바로그것이다. 돈은 가치있게 여기는 다른 것들과 함께 자리를 지켜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 자리에 만족하지못하는 습성이 있다. 돈은 최고의 자리를 누리려 한다.
예수님은 맘몬신으로부터 돌아서라고 한다. 맘몬신으로부터 돌아서서 유일하신 참 하나님을 예배하라고 촉구하신다. 예수님에 의하면 돈은 일종의 우상이다. 우리가 하나님께로 회심하려면 돈으로부터 돌아서야 한다. 바울은 “돈을 사랑함이 일만악의 뿌리”라고 분명하게 말한다(딤전6: 10).
그러나 오늘날 돈이 절대적인 사랑을 받고 있다는 사실을 감안해보자. 돈 자체가 일만 악의 뿌리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보다 더 사랑하는 모든 것이 다 우상이라는 사실을 바르게 알아야한다.
예수님은 돈을 섬기지 날아야 한다고 분명하게 이르셨다(마6: 24). 그럼에도 동시에 “불의 한재물‘ ’맘몬‘으로 친구를 사귀라고 주님은 말씀 하신다(눅16: 9).
이 기이한 딜레마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먼저 돈이 우리에게 행사하려는 영적권세를 정복해야 한다. 그런 다음에 하나님 나라를 위하여 돈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가 있다.
결코 돈을 섬겨서는안된다. 돈을 정복한 후에는 우리가 공익을 위하여 돈을 사용할수 가 있다.
결단코 돈을 섬기지 말라. 돈의 노예가 되지 말라. 이용하기만 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