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말과 행동

최고관리자 0 2,069

​​

  btn_trackback.gif
                                                                           사람의 말과 행동

  거짓말 탐지기의 공식명칭 : 폴리그래프(polygraph)이다.

polygraph는 사람이 거짓말을 할 때 심장 박동률, 피부 전기 반응, 혈압, 호흡 등과 같은 생리적 반응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정서적 변화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러한 생리적 현상을 동시에 기록하는 장치로서 폴리그래프는 흔히 범죄수사에서 '거짓말 탐지기'로 사용이 된다.

 드골 - 정치인은 자기 자신도 자기가 말하는 것을 결코 믿지 않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자 기 말을 들으면(믿으면)  
              자신도 놀란다 라고 맣했다.
 
 후르시쵸프-정치인은 강이 필요 없는 곳에도 다리를 놓아주겠다고 약속(空約)한다고 했으
 미국 일반인들 -하루에 거의 200(8분에 1번 꼴) 거짓말을 한다는 연구보고서가 있다.

  서던 켈피포니아 제럴드 젤리슨 박사(정신과의사)의 거짓말 잘하는 순위 조사 결과를 보면,
정치가    변호사   언론인   세일즈맨   정신과 의사   병원 접수담당직원   상점 판매원의 순서라고 함.

한국 교욱 개발연구원조사
중고생 1700, 성인1000명을 리서치’(Research) 결과를 보면, 정직해서 손해 보는 것보다 거짓말을 해서 이익을 얻는 편이 더 낫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약20%에 달했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거짓말에는 상황과 관계를 중시하는 의식구조가 저변에 깔려있다
서구인들은 대부분 상황에 관계없이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을 중시한다

 우리나라 사람들: 상황이 달라지면 말과 행동도 거기에 맞추려는 경향이 강하다.
좋은 뜻 융통성,   의리,           다르게 표현하면 거짓말이 된다.
우리나라는 정적인 민족으로 감정이 풍부한 반면에, 서구인들은: 의지적인 민족성으로 객관성이 뛰어나다.

     우리 인간에게 중요한 것들 몇 가지를 예를 들면

마음: 우리 인간은 마음의 생각에 따라서 말을 하거나 행동을 한다.
         우리 마음속에 있는 욕망 갈망 결국에는 목표가 된다.
        사람은 이 목표를 획득하는 방향으로 말이나 행동을 하게 된다.

언어: 내가누구와 함께 하느냐?에 따라서 우리는 말을 그들에게 맞추려는 생각으로 거친말, 지적인 말,
           경솔한 말, 유식하거나 혹은 조잡한 언어를 구사하게 된다.

행동: 우리 삶에서 가장 눈에 잘 띄는 것, 두 가지가 말과 행동인데 그 중에 행동이 좀 더 두드러진다.
            내가 교회에서 교우들과 직장에서 동료들과 함께 있을 때, 내 자신이 어떻게 행동을 하는가?
              
객관적 입장에 서서 나 자신에 대한관찰이 필요하다.
       변덕장이 인가? 어떤 사람들과 어울려도 내 자신의 개성을 유지할 수가 있는가

중요) 나 자신의 행동이 내가 믿고 있는 바와 일치하는가? 아니면 내가 처한 환경에 따라서 그때마다 다르게 반응하며 행동하는가?

윤리: 윤리란 그 사람에 따라서 그 의미가 달라진다.
신앙적 윤리는 선(, 아가도스), 정직(正直)함이다.
성경이 말하고 있는 바와 하나님이 원하시는 것을 아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마땅히 행()하여야 한다. 지식이 행동을 대신 할 수는 없다.4:17그러므로 사람이 선을 행할 줄 알고도 행하지 아니하면 죄니라
부에서의 윤리는 법률이다.
철학자의 윤리는 개념이다.
종교에서의 윤리는도덕이다.
그러나 하나님 앞에서의 윤리는순종이다.
삼상15:22순종이 제사보다 낫고 듣는 것이 숫양의 기름보다 나으니”.....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