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신도를 위한 조직신학(1)

최고관리자 0 2,945
​​                                                               평신도를 위한 조직신학 강의 ➀

조직신학 ⇒서론, 신론, 인론, 기독론, 구원론, 교회론, 종말론으로 구분된다. 조직신학은 모든 기독교 신학의 울타리와도 같다.
성경신학 ⇒성경 장, 절 구분을 잘 알 수 있으나 전체는 제대로 알 수가 없다.

독일 헬라어 교수 강의 時 ⇒結論, 그러므로 예수는 그리스도가 아니다라고 말함.  히브리어 교수 ⇒그러므로 이사야는 선지자가 아니다 라고 결론을 맺음(심각하다).   왜 그런가? 자유주의 사상이 문제다
성경각론 ⇒성경에는 반드시 인간 기록자가 있기 마련이다.

그런데 현대 신학자들은 ⇒성경66권 모두가 다 사람의 손을 거친 것이라는데 집착을 한다. 즉 성경을 하나님 말씀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➀구약성경 ⇒ IS의 종교사
現代神學者들의 주장 : ➁신약성경 ⇒ 그 時代 사람들의 종교이야기
                                  ➂우리는 ⇒21C속에 살고 있기 때문에 신, 구약성경에 얽매일 필요 가 없다라고
                              말한다. 
  (성경을 하나님 말씀으로 인정 안한다)

 

설교자는 신약을 말할 때 구약을 활용해야 하고 구약을 말할 때 신약의 빛에 비추어서 설명을 해 줄수 있어야한다.

한국 사람들 ⇒성경 통독을 가장 많이 한다. 그런데 말씀을 그렇게 열심히, 많이 보고 읽는데 世界에서 이단들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한국에 자칭 하나님, 자칭 재림주, 보혜사...등등 40여명의 하나님이 계신다)

무엇이 문제인가? 문제는 성경을 읽다가 자기생각, 자기 마음대로 해석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바르게 알아야 할 것은 성경은 내가 함부로 넘나들 수 없는 공적 문서라는 사실이다

성경66권 가운데서 가장 기초가 되는 책이 창세기이며
그 창세기를 기반으로 하여 쓰여진 책이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이다.
창세기의 저자 ⇒모세다. 창세기의 마지막은 요셉의 죽음이다.
요셉 ⇒모세보다 400년 앞선 시대의 사람이다.
이 모세오경의 기반위에 ⇒역사서, 선지서, 시가서가 기록이 된 것이다.

역사서 ⇒왕들의 이야기이다. 선지서 ⇒모세오경의 해석의 책이다(同時代다).
서신서, 히브리서를 읽으면서 참 재미있다 라고 느끼는 사람들 ⇒성경을 알아가는 자다.
복음서를 읽으려면 ⇒구약 전체의 내용을 바르게 알아야 한다. 서신서를 읽으려면 ⇒십자가의 도를 바르게 알아야 한다.

요한복음의 기록목적?
➀예수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아들이심을 믿게 하려고...(J.X,의 神的 기원이 중요하다)
➁예수 그리스도를 믿고 그 이름을 힘입어 生命을 얻게 하기 위해서

양태론((Modaslism), 처음 주창자의 이름을 따서 사벨리우스즘(Sabellianism)이라 불린다.
양태론, 즉 사벨리안주의는 이단이다.
성부가 ⇒ 성자가 되셨고 그 성자가 ⇒성령으로 오셨다라고 주장한다.
문제는 우리가 불신의 시대로 가면서 성경을 안 믿는 자들이 나타나게 된다.

우리의 구속
성부하나님 ⇒원하시고, 계획, 구속, 선택하시고, 성자 하나님 ⇒대속해 주셨으며, 성령 하나님 ⇒증거, 역사해 주시고....

성령의 역사는 조명과도 같다.  무대를 비춰서 주인공이 드러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예수그리스도가 전파되고, 말씀을 잘 가르치는 곳은 성령의 역사가 일어나고 있는 곳이다
그런데 성령, 성령 처음부터 끝까지 성령, 성령하면서 예수 그리스도가 빠지면 문제가 있다 靈的現像이 강하게 나타나는 곳이라도 다 믿을 게 못된다. 그 다음을 눈 여겨 봐야 한다.

성자는 성부로부터 발출 하셨고, 성령은 성부와 성자로부터 나오셨다. 이러한 사실을 주일학교 때부터 가르쳐 줘야 한다.

1.서론(종교론, 계시론, 성경론)

1)현대는 기준 상실의 시대이다.
이유? ➀성경에 대한 비판이 성행하기 때문이다.
➁성경에 대한 해석이 다양하기 때문이다(통일성의 결여)
➂성경에 대한 입장이 다르기 때문이다(조화적 입장, 대립적입장, 병립적입장)

2)개혁주의 전통은 조화적이다.

개역주의에서는 항상 성경을 고려한다. 전체성경(tota scriptura)을 전제한 오직 성경((Sola scriptura)이다.

오늘날 그 누구인들 오직 성경을 주장하지 않겠는가? 심지어 이단들도 성경을 말하고 있는형편이다(신천지-성경을 앞세워 이만희의 사상을 전함)

그러나 오직 성경은 전체성경을 전제하지 않으면 자기중심적의 주관적 입장이 될 뿐이다.

2.신 론(神論)

 

1)포괄적 신론과 성경적 신론
❶포괄적 신론 ⇒기독교 밖의 타종교(불교, 이슬람교, 유교, 대종교, 천도교등..)의 신관도 고려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참고는 할 수 있겠지만 표준(stendard)은 될 수 없다. 다른 종교의 신관(神觀)은 깨지고 부서지고 일그러진 파편들과도 같은 신관이기 때문이다.

2)성경적 신론 중에서 능동적 신론과 수동적 신론

❶능동적 신론 ⇒그 분이 어떠한 분이신가?
❷수동적 신론 ⇒그 분이 나와 어떤 관계인가?를 다룬다.

3)주관적 신론 가운데 능동적 신론과 수동적 신론

❶능동적 신론 ⇒자기중심의 신론이다. ❷수동적 신론 ⇒하나님 중심의 신론이다.

❶능동적 신론 ⇒소유 중심이며           ❷수동적 신론 ⇒존재 중심이다.

❶능동적 신론 ⇒신의 전능하신에 치중을 하는 반면
❷수동적 신론 ⇒신의 전능과 아울러 신의 전지(全知)(혹은 지혜)를 고려한다.
 - 신의 전능과 신의 전지는 항상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후자에 대한 배려나 고려가 없이 전자만 배타적으로 강조가 되면 이방의 신관과 하등 다를바가 없다.
전자에 대한 고려를 가지고 후자를 말하게 되면 비로소 균형있는 성경적 신관을 가지게된다

3.인간론(人論)

1)인죄론(人罪論)에 치중한 전통적 인간론

2)성경전체에서 제시된 인간을 고려하는 성경적 인간론
➀원인(原人) ⇒처음 지음받은 원래의 사람(아담)
➁죄인(罪人) ⇒범죄하여 본래의 자리에서 타락한 사람
➂구속인(求贖人) ⇒예수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구원받은 사람
➃천상인(天上人) ⇒천국에 들어간 사람

3)언약인
➀행위언약(지킴으로) ➁은혜언약(믿음으로) ➂속죄언약(죄 용서)

4.기독론

1)十字架 中心의 기독론과 復活中心의 基督論

➀십자가 중심의 기독론 ⇒사죄 대속에 치중을 하고 ➁부활 중심의 기독론 ⇒칭의, 성화에 중심을 둔다..

➀십자가 중심의 기독론 ⇒십자가에 달려 죽으신 예수님을 생각하게 하고
➁부활 중심의 기독론 ⇒사망 권세를 이기시고 부활하셔서 우리의 주가 되시고 왕이 되시 는 예수님을 생각하게 한다. 바로 이 면이 기독교 윤리의 근본 전제가 된다.

2)한국교회는 후자 보다는 전자에 더 치중을 하는 경향이 있다(성찬식 분위기...)
3)후자의 면이 강조가 되어야 기독교 윤리가 정상적으로 기능을 할 수 있을 것이다.

5. 구원론

1)인간의 행위중심의 구원론과 하나님 은혜중심의 구원론

➀인간의 행위중심의 구원론 ⇒전도 →반응 →결단 →구원
➁하나님 은혜중심의 구원론 ⇒선택 →부르심(구원 -회개케 하심 -믿게 하심)

2)구원의 순서와 궁극적 결과

➀소명 → ➁중생 → ➂회심 → ➃신앙 → ➄칭의 → ➅수양 → ➆성화 → ➇견인 →➈영화

3)칭의 구원론과 성화 중심의 구원론

➀사죄 칭의에 초점을 맞춘 구원이해 ⇒죄와 사망으로 부터의 구원
➁성화에 초점을 맞춘 구원이해 ⇒의와 생명의 길을 걷게 됨 거룩한 삶을 살아가게 됨

 

4)바빙크는 궁극적 결과적 구원을 인간 창조의 궁극적 목적으로 설명을 하였음.
이러한 관점은 편재에 치중하기 쉬운 인생들에게 궁극적 방향을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

6.교회론

1)신약교회 중심의 교회론 →오순절 성령강림을 교회의 생일이라고 말하게 된다.

2)"항상 있는 교회"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개혁교회라고 할 수 있다.

3)조직 중심의 교회론과 사람중심의 교회론
조직 중심의 교회론 ⇒기계적 교회론이라고 하면, 사람중심의 교회론 ⇒유기적 교회론이라고 할 수 있다.

4)교회의 양면성에 대한 이해
전투중인 교회와 승리한 교회, 지상교회와 천상교회...

7.종말론

1)개인적 종말론 중심의 종말이해
보편적, 전체적, 일반적 종말론의 조망가운데서 개인적 종말론을 이해하여야 한다.

2)내세 중심의 종말이해
현재적 종말론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내세 중심의 종말을 이해하여야 한다.

3)종말은 시점이 아니라 기간이다. "이미, 그러나 아직 아님"(aiready but not yet)

4)중간상태와 중간장소
사람이 사후에 있어질 일로서 중간상태를 인정을 한다(박형롱박사의 교의학)

5)천년설에 대한 바른 이해
➀전 천년설 ➁후 천년설 ➂무 천년설(現千年設)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