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특강 …

최고관리자 0 1,729

​​d67b6107364ef3666f78806ba7625b4e_1448695
개종자를 통해 본 한국인의 종교성


1. 들어가는 말

- 통계청이 2005년에 실시하여 발표한 인구주택 총조사 내용 중에서 종교에 대한 부분을 보면, 우리나라 3대 종교 중에서 불교는 3.9% 증가했고, 천주교가 74.4% 증가한 반면에 기독교는 1.6% 감소한 것으로 드러남.

- 이 연구에서 개종에 주목한 이유는 개종자의 경우에는 개신교와 천주교에 대한 뚜렷한 이해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이다.

- 연구방법: 심층면접, 한 사람이 개종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복잡한 심경 변화와 그들의 의미 세계를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심층면접이 적합.

⇒ 종교지도자들의 의도나 법규화되어 나타나는 종교 교리가 아니라 평신도들이 그들의 삶에서 실제로 구성하는 의미세계를 밝혀보고자 한 것.

2. 개신교가 밀어내는 요인

1) 개신교는 ‘표현’의 종교
- 천주교는 묵상을 강조하는 데 반해서 개신교는 자신의 영적인 상태를 밖으로 표출하는 데 더 몰두.
⇒ 종교의 계층성의 지형 변화를 암시?

2) 외형에 치중하는 교회
- 헌금에 대한 강요나 교세 확장에 대한 몰두. 직분에 연연해하는 교인들의 모습.
- ‘주일 성수’와 같은 외형으로 나타나는 종교성을 강조.

3) 가족 같은 분위기의 이중성
- 개신교회 구성원들은 서로 간에 매우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며 가족과 같은 분위기에서 신앙생활을 하는데, 이것은 친근감을 준다는 좋은 점도 있지만 사생활의 영역이 침범 당한다는 느낌을 주어 불편하게 하기도 함. 중보기도의 위험성?

- “시댁” 같은 교회, “사모님 없는 교회, 밥 안 먹는 교회”를 찾아 성당으로 가다!

 ⇒ 왜 다른 교회를 찾아보지 않고, 성당으로 갔을까?

3. 천주교가 끌어들이는 요인
1) 성스러운 이미지의 성당
- 성당 내부의 성스러운 분위기.
- 성직자들의 성스러운
- “피아노”를 닮은 개신교, “파이프 오르간”을 닮은 천주교.

2) 자유로운 분위기의 성당
- 개신교는 “피곤해!”
- 천주교는 자유롭고 품위 있어.

 3) 융통성 있어 보이는 성당
- 술, 담배, 제사, 타종교에 대한 태도가 부드러워.
- 불교도인 어머니와 타협하기 위해 천주교로 옮긴 개신교인.

4. 개종의 경험에 나타난 한국인의 종교성

1) 정체성이 약한 종교인
- 개신교와 천주교는 형제 종교이며 두 종교의 차이는 ‘하나님’과 ‘하느님’의 차이 밖에 없다?
⇒ 현대인들에게 종교는 깊은 실존 차원의 결단이기 보다는, 지극히 사소하고 일부분에 불과한 것.

2) 종교생활의 가족주의
- 한 집안에 두 종교는 용납 못해.
- 가정의 평화를 위해 천주교로 가라?

⇒ 종교의 결정이 교리상의 옳고 그름의 문제나 개인 신앙의 양심 차원에서 논의되는 것이 아니라, ‘가족이 가장 중요하다’는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다.

3) 현대 사회에서 종교의 위치
- 다원주의 시대, 문화적 상대주의 태도는 융통성 있는 천주교 이미지와 선택적 친화력이 있어.
- 술, 담배는 괜찮지만, 피임이나 낙태는?
5. 나가는 말

- 다원화 사회에서 개신교인으로서 살아가기란?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