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학교 교육론 특강 …

최고관리자 0 1,630

d67b6107364ef3666f78806ba7625b4e_1448699
                                                                                                 ​​Colloquium 교회교육론특강


                                      교회교육 패러다임 
                         (하나님백성세우기)           


  I. 질문과 응답에 나타난 목사님들의 교회교육적 관심(우선순위)

            1. 성경중심의 교육  2. 교사의 자질, 훈련  3. 예배와 교육의 연계성  4. 교회(주일)학교
            5. 교재, 목적부재, 목회자의 자질, 교육위원회

  II. 교회교육의 문제를 풀어갈 Key Word.........John H. Westerhoff (Duke Univ.)

            1. 신앙은 “가르치는것이 아니다” (not teacheable), “형성되는것” (formation)
 
            2. 오늘의 교회(주일)학교의 실패는 신앙을 “학교식”(schooling), “교수식”(instructional)으로
                가르치는데 있다.
       
            3. 신앙은 “신앙공동체” (The community of faith) 의 “예배”(worship), “연구”(study), “섬김”
                (action)을 통하여 형성되여야.....이것을 “교육생태학”(educational ecology)라함.

    III. 하나님백성을 세우는 교회교육 I.......“교육목회”

          1. 레이투루기아(예배)(Leitourgia)와 커리큘럼(Maria Harris)
          2. 케리그마(선포) (Kerygma)와 커리큘럼(Maria Harris)
 
    IV. 하나님백성을 세우는 교회교육 II.....“성서연구” (성경공부)
 
          1. 성서연구의 구성적차원 3가지..text, context, pre-text와 문제점 몇가지
            a. context, pre-text 없는 text..............textualism
            b. text, pre-text 없는 context.............contextualism
            c. text, context 없는 pre-text............spiritualism

          2. “Steno" 방법과 "Tensive"방법에서 본 성서연구

          3. Bernhard Anderson, Unfolding Drama of the Bible (번역명, 성서의 구원 드라마) 와
                TBC(Total Bible Curriculum) 성서연구(제작자, 은준관)의 구조

          4. 제3과를 sample로 하는 TBC성서연구 개요

          5. 교육준비 및 진행 지침


  V. 하나님백성을 세우는 교회교육 III......“어린이. 청소년 교회” (주일교회학교의 전환)
 
            1. “학교식”교육으로부터 “신앙공동체양육”으로의 전환
 
            2. ecclesiola in ecclesia로서의 어린이교회

            3. 어린이.청소년은 “피교육자가 아니다”. “하나님의 백성이다”
                    신앙, 배움, 섬김의 주체로서의 어린이
 
            4. 어린이교회의 3중구조...예배, 교육, 섬김의 회복...온전한신앙, 온전한공동체

            5. 어린이와 함께 순례하는 “산파”.....교사

  VI. 하나님백성을 세우는 교회교육......교사교육

            1. 예비교육 (pre-service training)

            2. Workshop중심의 교육 (in-service training)


  VII. 결론:"Educational Ecology"의 창조는 무엇을 의미하나?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Comments